⛳️ 깃(Git)이란?
깃(Git)은 잦은 프로젝트의 변경에 대한 이슈 관리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면, 마케팅팀의 요청으로 새로운 AI검색 기능을 추가하기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AI검색 기능이 후순위로 밀리게 되고 라이브커머스 기능이 우선순위로 바뀌게 되었다.
이때, 개발자 입장에서는 기존에 AI검색 기능에 대한 프로그래밍을 진행 중이었고 이미 일부 코딩을 짜고 있었다.
우선순위가 바뀌게 되어 짜놓은 코딩을 삭제하고 새로운 코딩을 작업해야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깃 프로그램이다.
깃 프로그램은 리눅스 개발자인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한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 깃 프로그램에서의 용어
1. 커밋(Commit)
개발자들이 개발 단계별로 '깃발'을 꽂을 수 있는데 그 행위를 '커밋'이라 일컫는다.
커밋에는 항상 메모가 달리는데 그 메모를 '커밋 로그(commit log)'라고 한다.
2. 브랜치(Branch)
브랜치는 '가지'라는 뜻으로 깃에서는 새로운 가지를 뻗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예를 이어서 말하면 기존 AI검색 기능 개발 중에 브랜치는 라이브커머스 기능을 말한다.
기존 개발을 이어서(덮어씌어) 작업하지 않고 새롭게 가지를 쳐서(브랜치)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개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브랜치에 커밋하는 것이다.
3. 머지(Merge)
브랜치에서 작업한 코드들을 합치는 기능을 머지라고 한다.
머지는 깃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핵심적인 기능이다.
만약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충돌(Conflict)은 알려주고 어떤 부분이 충돌됐는지 보여준다.
⭐️ 원격 저장소 '깃허브', '비트버킷'
개발자들이 깃을 기반으로 만든 원격 저장소이다.
원격 저장소라고 함은 개발자들이 본인 컴퓨터(Local)에 저장되어 있던 코딩소스를 원격 저장소에 저장하여
내부 개발자끼리 공유(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내부에서는 원격 저장소를 통해 히스토리와 담당자를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최원영. 티더블유아이지
'서비스 기획 >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L 구조 이해 (0) | 2024.09.03 |
---|---|
#서비스기획 - 벡터 검색 이해 (0) | 2024.08.16 |
[서비스기획]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리고 API (0) | 2024.07.02 |
🖥 서버(server)란? :: Web server, WAS(Web Application Server) (0) | 2021.08.18 |
[서비스 기획] 쉽게 이해하는 개발환경과 개발언어(코드) (2) | 202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