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5

기획자가 알아야 할 AEO(Answer Engine Optimization) 대응법

SEO에서 AEO로... 검색은 이제 답을 요구한다. 검색이 변하고 있다.예전엔 '정보'를 찾기 위해서 검색했지만,지금은 '답'을 바로 얻기 위해 검색한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AEO(Answer Engine Optimization)다. ✅ AEO란 무엇인가?Answer Engine Optimization검색 엔진이 아닌 답변 엔진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만드는 전략이다. 이제 사람들은"에어프라이어로 고구마 몇 분?", "갤럭시 S25와 아이폰 비교해줘" 등자연어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이 질문에 '즉시 답변'해주는 것은구글이 아니라 ChatGPT, 네이버 톡서치, 카카오 i, 삼성 Bixby일 수 있다. ✅ 기존 SEO는 "사람이 검색 -> 사이트 방문" 구조SEO가 검색결과 상위에 노출되게끔 한..

Marketing/Basic 2025.04.18

#서비스기획 - AI 기초 이해하기

✅ AI의 주요 기술적 구성요소1. 머신러닝(Machine Learning)데이터를 바탕으로 알고리즘이 스스로 학습하여 패턴을 찾는 기술예. 메일 스팸 필터, 넷플릭스의 콘텐츠 추천, 온라인 쇼핑몰의 맞춤형 상품 추천 2. 딥러닝(Deep Leaning)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의 일종으로, 인간 뇌 구조를 모방한 계층적 학습 방식예. ChatGPT, 자율주행 자동차, 얼굴 인식 기술 3.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기술예. ChatGPT, 자동번역기, AI 챗봇 ✅ AI 학습의 주요 방식1.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입력과 정답을 미리 알려주고 학습하는 방식예...

리다이렉트(Redirect) 처리

✅ 리다이렉트(Redirect)란?주소 바꿔서 보내기 : 사용자가 A 주소에 접속했을 때, 자동으로 B 주소로 이동시키는 것.시스템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다른 URL로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URL로 이동시킬 때 목적에 따른 고려사항이 있다.영구로 이동을 시킬 것인지. 임시로 이동시킬 것인지 등으로 말이다.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리다이렉트를 하는 이유모바일/PC 분기 : [/list.jsp] -> [m/list.jsp] 로 자동 이동도메인 변경 : [old.com] -> [new.com] 으로 이동URL 구조 개편 : [/product/1] -> [/item/1] 으로 구조 변경 시 대응SEO 유지 : 기존 주소로 유입된 트래픽을 새로운 주소로 넘기기 위해권한/인증 처리 : 비로그인 사용..

라이브커머스로 3,000만원 매출 만든 실전 전략

무섭게 성장하던 라이브커머스가 어느 시점부터는 매출이 급격히 줄어들었다.라이브커머스 매출을 가늠할 수 있는 사이트 "라방바"를 참고해 보면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라이브커머스의 붐은 언제부터 일어났는가?라이브커머스의 부흥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국내 주요 플랫폼사에서 착안하여 론칭하기 시작했다. 초기 라이브커머스는 대중들이 잘 알지 못해 매출이 0인 곳들이 많았다.네이버에서도 중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기능을 제공하여 라이브를 시도하길 바랬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당시에는 홈쇼핑에서도 견제하지 않고 벤치마킹 정도로만 참고하였다.시장성장에 따라서 본인들이 스마트폰으로 옮겨 플레이하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예상외로 라이브커머스는 20~40대 여성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였고 여러 플랫폼에서도..

Marketing/Trend 2025.04.14

이커머스 신흥강자의 등장

이커머스 시장이 최근 1년만큼 빠르게 변화했던 적이 있었을까?코로나 때 급성장한 이커머스가 주춤하는가 싶더니 새롭게 재편 중에 있다.대기업 중심의 오픈마켓은 성장이 둔화되었고 거래액을 쫓던 여러 버티컬들은 막다른 벽에 부딪힌 모양새이다. 최근 1년동안 있었던 이커머스 이슈를 정리하며 신흥강자로 떠오르는 이커머스를 주목하고자 한다. 📉 더 어려워져만 가는 이커머스 시장...티메파크, 홈플러스, 발란 이슈아직도 정리되지 않은 티메파크 사태작년 하반기 티메파크 사태는 얼어붙기 시작한 이커머스 시장을 더욱 춥게 만들었다.정산금을 받지 못한 중소 셀러들이 연달아 폐업을 했고 벤더사 또한 피해가 막심했다.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지만 엄청만 중소 셀러들이 망하게 된 계기가 된 이슈이다. 티메파크 사태는 이커머스 시..

E-commerce/Trend 2025.04.10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UI 레이아웃 구조 정리

🤔 UI 레이아웃 정리는 왜 중요한가?기획자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상황을 고려하여 기획을 한다.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페이지 구조를 설계한다. 화면은 크게 헤더, 콘텐츠 영역, 서브 메뉴 영역, 하단 플로팅/고정 영역, 푸터로 구성된다.헤더(Header) : 뒤로 가기, 타이틀, CTA(ex. 장바구니, 설정) 등콘텐츠 영역 : 텍스트/이미지/리스트/탭 등 실제 정보 표현서브 메뉴 영역 : 필터, 정렬, 검색 등 콘텐츠 조작 기능하단 플로팅/고정 영역 : 버튼, 네비게이션, 가격정보 등 빠른 액션 유도푸터 : 페이지 정보(ex. 사업자정보, 고객센터, 개인정보 처리방침 등)목적에 따라 위 내용은 바뀔 수 있다. 1. 레이아웃을 정하기 전에 목적을 정의해야 한다. 유사서..

API와 JSON 역할 차이

✅ API와 JSON 역할 차이 표항목APIJSON정의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요청 통신'을 위한 규칙/주소요청/응답 시 실제로 오가는 '데이터 형식'역할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오는 통로요청 결과로 내려온 '데이터 본문'(내용물)예시[GET/api/products?type=sale] 요청 URL{"productID":123, "price":499000}기획자 관점어떤 데이터를 가져오는지? 언제 호출되는지?어떤 데이터가 필요 없는지? 얼마나 무거운지? ✅ 관계 흐름 요약[화면진입] -> 프론트에서 API 호출 -> 서버에서 JSON 데이터 응답 -> 화면 렌더링 ✅ 실무 기준 체크포인트항목점검 질문이슈 발생 시API 호출 시점페이지 진입 시 전체 데이터를 다 받나?초기 로딩이 느림JSON 응답 크기상품..

#서비스기획 - 이커머스 서비스기획자가 알아야 할 핵심 용어

✅ 상품/판매 관련SKU(Stock Keeping Unit) : 재고 관리 단위, 옵션까지 구분된 '진짜 하나의 상품'모델명/모델상품 : 대표 스펙으로 묶인 상품 단위 (ex. 갤럭시 S24 전체)딜/특가/핫딜 : 일정 기간 할인 판매되는 상품 또는 기획전단가/소비자가/판매가 : 공급단가, 정가, 실제 판매가 등 각각의 가격재고(Inventory) : 실제 보유 수량, 품절 여부 판단 기준 ✅ 주문/배송/결제장바구니(Cart) : 사용자가 담아두고 결제 전 머무는 공간주문서(Order Sheet) : 결제 전 단계의 사용자 입력 정보(주소, 쿠폰 등)PG사(Payment Gateway) : 카드사와 연결해 주는 결제 대행사(ex. KG이니시스, 토스페이먼츠)복합결제/분할결제 : 여러 결제수단을 동시에 사..

04. 내 아이템

나는 다시 혼자서 일을 하게 되었다.당시에 고민이 많이 들게 되는건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다시 취업 전선에 뛰어 들어 준비하기에 충분히 어린 나이었다.하지만 큰 야망을 품었던터라 쉽게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일단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돈이 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시도해보려고 했다.2019년 당시 스마트스토어 붐이 일어나는 시점이었고 가능성이 보였다. 초기엔 내 스토어를 만들어서 위탁판매를 하고자 했으나, 생각보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계약 문제, 정산, CS까지. 상품이 많아질수록 부담이 되었다.혼자서 할 수 있는 업무는 아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스토어를 키워가며 브랜딩을 하자니, 이미 상품이 난잡하게 소싱되었다.상품 가지수만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다보니 맥락도 없었고 히트상품으로 키울만..

Project/찐리뷰 2025.03.28

#서비스기획 - 기획자가 개발자와 잘 소통하는 법

"이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요"라는 말 뒤에 숨은 신호 읽기 서비스기획자로 일하면서 개발자와 매일 협업한다.하지만 언제나 부딪히는 포인트가 있다.개발자의 피드백이 때론 벽처럼 느껴지는 그 순간들."기획 내부에서 먼저 확인해보세요""이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요""그건 케이스 정리가 필요해요""지금 구조에선 무리가 있어요" 이 말들은 단순한 '거절'로 받아들이기보다,'기획자가 더 성장할 수 있는 시그널'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온다. 🤔 기획 내부에서 확인해보세요기획자는 정보의 허브가 되어야 한다. 개발자는 '왜 이 기능이 지금 나오고 있는지'를 과거 버전까지 거슬러가며 파악하기 어렵다.그래서 기획자가 과거 이력과 현재 변경점을 명확하게 가져가는게 좋다. ✅ 실무 대응법기능 히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