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Basic 22

#서비스기획 - AI 기초 이해하기

✅ AI의 주요 기술적 구성요소1. 머신러닝(Machine Learning)데이터를 바탕으로 알고리즘이 스스로 학습하여 패턴을 찾는 기술예. 메일 스팸 필터, 넷플릭스의 콘텐츠 추천, 온라인 쇼핑몰의 맞춤형 상품 추천 2. 딥러닝(Deep Leaning)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의 일종으로, 인간 뇌 구조를 모방한 계층적 학습 방식예. ChatGPT, 자율주행 자동차, 얼굴 인식 기술 3.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기술예. ChatGPT, 자동번역기, AI 챗봇 ✅ AI 학습의 주요 방식1.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입력과 정답을 미리 알려주고 학습하는 방식예...

#서비스기획 - 이커머스 서비스기획자가 알아야 할 핵심 용어

✅ 상품/판매 관련SKU(Stock Keeping Unit) : 재고 관리 단위, 옵션까지 구분된 '진짜 하나의 상품'모델명/모델상품 : 대표 스펙으로 묶인 상품 단위 (ex. 갤럭시 S24 전체)딜/특가/핫딜 : 일정 기간 할인 판매되는 상품 또는 기획전단가/소비자가/판매가 : 공급단가, 정가, 실제 판매가 등 각각의 가격재고(Inventory) : 실제 보유 수량, 품절 여부 판단 기준 ✅ 주문/배송/결제장바구니(Cart) : 사용자가 담아두고 결제 전 머무는 공간주문서(Order Sheet) : 결제 전 단계의 사용자 입력 정보(주소, 쿠폰 등)PG사(Payment Gateway) : 카드사와 연결해 주는 결제 대행사(ex. KG이니시스, 토스페이먼츠)복합결제/분할결제 : 여러 결제수단을 동시에 사..

#서비스기획 - 기획자가 개발자와 잘 소통하는 법

"이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요"라는 말 뒤에 숨은 신호 읽기 서비스기획자로 일하면서 개발자와 매일 협업한다.하지만 언제나 부딪히는 포인트가 있다.개발자의 피드백이 때론 벽처럼 느껴지는 그 순간들."기획 내부에서 먼저 확인해보세요""이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요""그건 케이스 정리가 필요해요""지금 구조에선 무리가 있어요" 이 말들은 단순한 '거절'로 받아들이기보다,'기획자가 더 성장할 수 있는 시그널'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온다. 🤔 기획 내부에서 확인해보세요기획자는 정보의 허브가 되어야 한다. 개발자는 '왜 이 기능이 지금 나오고 있는지'를 과거 버전까지 거슬러가며 파악하기 어렵다.그래서 기획자가 과거 이력과 현재 변경점을 명확하게 가져가는게 좋다. ✅ 실무 대응법기능 히스토리..

#서비스기획 - 상위 기획과 하위 기획

상위 기획 VS 하위 기획 비교구분상위 기획(High-level Planning)하위 기획(Detailed Planning)목적서비스의 전체적인 방향과 큰 틀을 결정구체적인 기능과 운영 방식 설계포커스비즈니스 모델, 핵심 가치, 주요 기능 정의세부 기능 정의, UX/UI 설계, 데이터 흐름산출물서비스 개요, 기능 리스트, 주요 화면 개념도상세 기획서, 와이어프레임, 플로우 차트의사결정"무엇을 할 것인가?""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예시 - "최저가 상품만 모아 보여주는 서비스 제공" - "사용자 맞춤 가격 비교 기능 추가"  - "최저가 상품 기준은 최근 3일간 가격 변동 데이터를 반영" - "최저가 비교 리스트 UI에서 가격 변동 히스토리 제공"상위 기획 : 큰 그림을 그리는 단계 (Why & What)..

#서비스기획 - 사업 전략 기획과 서비스 기획의 차이

사업 전략 기획 VS 서비스 기획 비교구분사업 전략 기획서비스 기획목적회사의 성장 방향과 수익 모델 수립고객 중심으로 서비스 기능 설계중점 요소시장, 경쟁, 비즈니스 모델, 투자 계획UX, UI, 기능, 데이터 분석대상기업 전체, 시장, 투자자최종 사용자, 서비스 운영팀주요 산출물비즈니스 전략, 매출 목표, 실행 로드맵서비스 구조도, 와이어프레임, 요구사항 정의분석 대상산업 트렌드, 경쟁사, 고객 세그먼트사용자 니즈, 사용 패턴, 데이터 지표시간 범위장기 (1~5년)단기 (1년)성과 지표시장 점유율, 매출 성장률, 수익성사용자 유입, 전환율, 재방문율핵심 활동신사업 발굴, 투자 유치, 수익 모델 설계기능 설계, UX 개선, 개발 협업관련 부서경영진, 마케팅, 재무, 영업개발팀, 디자인, CS, 데이터팀사..

#서비스기획 - CTR과 CVR

CTR과 CVR 비교표항목CRT(Click-Through Rate)CVR(Conversion Rate)정의광고나 링크가 노출된 후 클릭된 비율방문자가 실제로 구매나 가입 등 목표 행동을 한 비율공식(클릭 수/노출 수)*100(전환 수/방문자 수)*100목적클릭 유도 효과 측정최종 전환(구매, 회원가입 등) 효과 측정영향 요소광고 카피, 이미지, 위치, 타겟팅UX/UI, 가격, 혜택, 신뢰도, 구매 프로세스관련 지표노출 수, 클릭 수, CPC(클릭당 비용)장바구니 추가율, 이탈률, AOV(평균 주문 금액)활용 분야광고 성과 평가, A/B 테스트랜딩 페이지 최적화, 마케팅 퍼널 개선주요 목표유입 극대화전환율 향상 및 매출 증가 CTR과 CVR을 서비스 기획 관점에서 해석하기CTR과 CVR은 각각 유입(관심)..

#서비스기획 - 페이지 새창과 이동

서비스기획 시, 쉽게 놓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고 기획서 작성이 쉽게 누락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당연히 새창으로, 이동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을 기획서에 기재하지 않으면 만들어야할 사람에게 혼란을 야기시킨다. 페이지 새창과 이동 비교표구분페이지 새창 (New Tab/Window)페이지 이동 (Page Transition)주요 목적사용자가 현재 페이지를 유지하며 추가 정보를 얻도록 함사용자가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콘텐츠로 자연스럽게 이동사용 상황- 외부 링크를 열 때- 서비스 내 주요 흐름을 따라가야 할 때- 상세 정보 확인이 필요할 때- 컨텍스트 전환이 자연스러울 때- 중요 작업을 유지해야 할 때 장점- 현재 페이지 보존- 사용 흐름이 명확- 작업 연속성 유지- UI 간소화- 복귀 용이- 집중도 유지단점..

#서비스기획 - 회원 [개인정보 이용내역] 메일 발송(Ver.2024)

아래 대상자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연 1회 이상 회원에게 [개인정보 이용내역] 관한 내용의 메일을 고지해야만 한다.정보주체의 수(5만 명, 100만 명)는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 간 일일평균을 기준으로 산정한다.5만 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하여 민감정보 또는 고유식별정보를 처리하는 자100만 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자11~12월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개인정보 이용내역 이메일 발송 관련해 파악해야 할 내용을 간략하게 기록하고자 한다. 1. 관련 법령 및 내부 이용약관 변경 확인2024년 기준으로는 아래 법령을 참고하면 된다.개인정보 보호법 [제20조의2(개인정보 이용ㆍ제공 내역의 통지)]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5조의3(개인정보 이용ㆍ제공 내역의 통지)]법령은 대통..

#서비스기획 - 플로우차트(flowchart)

플로우차트 또는 흐름도라고 불리는 이것은 서비스기획 시, 꼭 필수는 아니다.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경우가 있고 목적에 따라 형태나 흐름은 달라질 수 있다. 어디까지나 문서의 이해도를 높히기 위한 목적으로 소통을 잘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서비스기획자는 일반적으로 유저흐름(user flow)을 많이 작성한다. 화면/기능 단위 또는 사용자 행동의 시작과 끝의 과정 중에 데이터 흐름도 포함시키면 좋다.다만, 기획자가 모든 데이터의 저장 위치와 저장 형태(기간, 기준, 용량)을 파악하긴 어렵다.그렇기 때문에 기획안을 보완하는 과정 중에 업데이트하며 추가하는걸 권한다.1. 플로우차트 주요 기호위 이미지는 주로 많이 사용하는 기호이다. 외에도 다른 기호들도 있다. 모든 기호에 대한 의미를 암기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

#서비스기획 - 라디오 버튼, 토글, 체크박스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토글(toggle), 체크박스(check box)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는 UI 요소이다.앱 설정이나 기호도 조사를 할 때 많이 볼 수 있다. 선택을 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기능과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1.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 여러 개 중 1개 선택라디오 버튼은 여러 개의 값 중에 1가지만 선택 가능하다.중복된 값을 선택할 수 없으며 주로 필수 선택을 해야만 하는 정보에 사용된다.명확히 구분 가능한 정보에도 많이 쓰인다.예를 들면, 회원가입 시 성별(남/여)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2. 토글(toggle) : 1개 값 on/off토글은 흔히 on/off 기능으로 많이 사용된다.특정 값에 대한 설정으로 많이 쓰이고, 필터를 강조하기 위해서도 버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