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Programming

[서비스기획]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리고 API

기획기획기 2024. 7. 2. 13:17
728x90

업무를 할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지칭하는 여러 단어가 있다.
알면은 쉽지만 모르면 알 수 없는 단어이기 때문에 정리해 보았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표현하는 여러 단어

Ⓒ찐리뷰 클라이언트와 서버

 

클라이언트는 '클라', '사용자', 'FO', 'Front-Office', 'Front', 'Front-end'라고 불려진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의 보이는 화면이 클라이언트라고 할 수 있다.

서버는 'BO', 'Back-Office', 'Back-end'라고 불려진다.
서버에는 DB(database)가 저장되어 저장된 정보가 요청에 의해 응답된다.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하며 동적인 시스템(서비스)을 만들어 낸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소통하는 문서를 API라고 한다.

API 문서에는 특정 주소와 매소드가 있다.

특정 주소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의 위치이다.
매소드는 CRUD에 대응되며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구분 매소드(의미)
Create POST (게시, 생성)
Read GET (읽기, 불러오기)
Update PUT (전체 수정) / PATCH (일부 수정)
Delete DELETE (삭제)

그리고 요청과 응답에 대한 표시 값도 코딩되어 있다.

API 문서는 서버 개발자가 작성한다.

 

🧑‍💻 요청과 응답의 결과 표현

API 문서에는 요청과 응답에 대한 기준이 코딩되어 있으며 상응하는 행동에 따라 결과 표현이 된다.

  • 200번 : 성공
  • 400번대 : 클라이언트 문제(이슈)
  • 500번대 : 서버 문제(이슈)

400, 500번 대의 이슈에 따라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400번대 인 클라이언트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클라이언트의 요청값이 잘못 입력되었거나 사용자의 네트워크 문제일 수 있다.
500번대 인 서버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클라이언트가 바르게 정보를 요청하였으나 서버가 응답할 등록된 정보가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더보기

[출처]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최원영. 티더블유아이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