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Programming

리다이렉트(Redirect) 처리

기획기획기 2025. 4. 16. 13:00
728x90

리다이렉트 redirect

✅ 리다이렉트(Redirect)란?

주소 바꿔서 보내기 : 사용자가 A 주소에 접속했을 때, 자동으로 B 주소로 이동시키는 것.

시스템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다른 URL로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URL로 이동시킬 때 목적에 따른 고려사항이 있다.

영구로 이동을 시킬 것인지. 임시로 이동시킬 것인지 등으로 말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리다이렉트를 하는 이유

  1. 모바일/PC 분기 : [/list.jsp] -> [m/list.jsp] 로 자동 이동
  2. 도메인 변경 : [old.com] -> [new.com] 으로 이동
  3. URL 구조 개편 : [/product/1] -> [/item/1] 으로 구조 변경 시 대응
  4. SEO 유지 : 기존 주소로 유입된 트래픽을 새로운 주소로 넘기기 위해
  5. 권한/인증 처리 : 비로그인 사용자를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시킬 때

 

리다이렉트 처리 방식

  • 301 리다이렉트 : 영구 이동 (검색엔진도 새 주소로 인식) 
    ex. SEO 필수
  • 302 리다이렉트 : 임시 이동 (브라우저는 새 주소지만 원래 주소 기억)
    ex. 테스트, 로그인
  • JavaScript : [window.location.href='/new-url']
    ex. 프론트에서 제어
  • 서버 사이드 : [response.sendRedirect("/new-url")
    ex. 백엔드에서 제어
  • Meta 태그 :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2; url=/new">]
    ex. HTML 자체에서 제어

 

🔥 기획자가 꼭 챙겨야 하는 6가지

1. 리다이렉트 시 파라미터 유지 여부

리다이렉트 후에도 spec, cate, freetoken 등 주요 파라미터가 유지되는지 확인 필요하다.

빠지게 되면 사용자 흐름, 로그 추적, 퍼널 분석이 전부 깨지게 된다.

 

예를 들면 파인더에서 속성을 선택 후에 관련상품 더보기로 랜딩 되었을 경우,

URL에 spec 값이 없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는다.

 

의도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파라미터를 유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구분해야 한다.

 

2. PC와 모바일 URL 분기 시, UX 단절 방지

PC 주소로 접근한 사용자가 모바일 환경이면 [m.] 도메인으로 자동 전환된다.

많은 서비스에서 이 기능을 적용 중에 있다.

다만, PC와 모바일 화면과 기능에 차이가 크다면 혼란이 생길 수 있다.

 

모바일로 리다이렉트되었을 때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

디자인 상 불필요한 중복 클릭 등이 없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PC에서는 회원탈퇴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모바일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거나 경로가 다를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리다이렉트를 사용하여 해당 URL에서는 모바일로 접근 시 홈 메인으로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3. 검색엔진 최적화(SEO) 관점에서 301/302 구분

상태코드 의미 SEO 영향
301 영구 이동 ✅ 검색엔진이 새 주소로 페이지 평가를 넘김
302 임시 이동 ⚠️ 페이지 점수를 원래 주소에 유지함(SEO 효과 없음)

 

검색엔진(ex. google, 네이버)은 한 주소(URL)에 대해 "페이지 품질 점수", "백링크", "클릭률", "콘텐츠 가치" 등을 저장한다.

그런데 그 주소가 다른 주소로 이동된다면 검색엔진은 아래와 같이 고민한다.

질문 301일 때 302일 때
이 주소는 진짜 바뀐 건가? ✅ 새 주소를 기준으로 노출 ❌ 기존 주소를 유지
점수(랭크 링크 등)을 넘겨줄까? ✅ 전부 넘김 ❌ 안 넘김(또는 지연됨)
검색 결과 노출 주소는? ✅ 새 주소 ❌ 여전히 원래 주소일 가능성

 

기획자 입장에서 체크할 포인트

체크 항목 중요한 이유 예시
❓ 이동이 "영구"인가요, "일시"인가요? 301/302 판단 기준 URL 구조 개편은 301
❓ 검색엔진이 새 주소로 랭킹 넘겨야 하나요? SEO 유지 필수 네이버 검색 유입 유지해야 할 때
❓ 파라미터만 바뀌는건가요? 내용은 동일하면 canonical 처리 고려 [?utm=], [?ref=] 등
❓ 현재 주소로 유입된 링크가 많은가요? 301로 안전하게 넘기기 블로그, 광고, 제휴 링크 유입 많을 때

 

4. 로그 추적/분석 연속성

리다이렉트 후에도 유입 경로(freetoken, utm_source 등) 보존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클릭 로그 > 리다이렉트 > 랜딩 시점 로그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5. 유입 캠페인 흐름 깨지지 않게 설계

캠페인 페이지 리디렉션은 항상 전체 쿼리스트링 유지가 기본이다.

리다이렉트로 [event.jsp]만 남고 파라미터가 날아가면 성과 추적이 불가능하다.

마케팅 ROI 분석도 망가지게 되니 주의가 필요하다.

 

꼭 계획한 경로에서 접근했을 때 URL을 확인해야 한다.

 

6. "의도하지 않은 리디렉션" 방지하기

기획자는 "무조건 자동 이동"이 아니라 "왜 이동시키는가?", "이동 후 사용자가 기대하는 정보는 보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리디렉션은 개념, 구조에 대한 의미라면, 리다이렉트는 실제 동작, 요청에 대한 의미이다.

각 페이지별 정보를 주고받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리디렉션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서비스 운영, 사용자 경험, SEO 전략까지 연결되는 핵심 개념이다.

 

사용자가 잘못된 주소나 구주소로 접근해도 정확한 페이지로 안내할 수 있고

기본 주소에 쌓은 검색 점수, 백링크, 유입 이력을 새 주소로 넘길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지 권한이 없을 경우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다이렉트는 사용자 흐름을 끊지 않으면서도.

트래픽, 검색 점수, 캠페인 성과를 지키기 위한 필수 기능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