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에서 AEO로... 검색은 이제 답을 요구한다.
검색이 변하고 있다.
예전엔 '정보'를 찾기 위해서 검색했지만,
지금은 '답'을 바로 얻기 위해 검색한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AEO(Answer Engine Optimization)다.
✅ AEO란 무엇인가?
Answer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이 아닌 답변 엔진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만드는 전략이다.
이제 사람들은
"에어프라이어로 고구마 몇 분?", "갤럭시 S25와 아이폰 비교해줘" 등
자연어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이 질문에 '즉시 답변'해주는 것은
구글이 아니라 ChatGPT, 네이버 톡서치, 카카오 i, 삼성 Bixby일 수 있다.
✅ 기존 SEO는 "사람이 검색 -> 사이트 방문" 구조
SEO가 검색결과 상위에 노출되게끔 한다면
✅ AEO는 "AI가 대신 검색 -> AI가 대신 추천" 구조
AEO는 AI 요약, 대답에 노출되게끔 하는 것이다.
따라서 AI가 읽고 요약/추천하기 좋은 구조로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 SEO vs AEO, 무엇이 다른가?
구분 | SEO | AEO |
목적 | 검색 결과 상위 노출 | 정확하고 즉각적인 '답변' 제공 |
키워드 중심 | 짧은 키워드 위주 | 질문형 문장, FAQ형 콘텐츠 |
포맷 | 블로그, 뉴스, 웹페이지 | 요약, 리스트, 대화형 콘텐츠 |
대표 채널 | 구글, 네이버 검색 | AI 챗봇, 음성 검색, 톡서치, Bing Copilot |
최근 생성형 AI 기술에 많은 사람들이 적응해가고 있다.
키워드로 분류된 검색보다 자연어 검색이 곧 더 익숙해질 것이다.
나만 하더라도 더이상 구글에 검색하지 않고 ChatGPT에 물어본다.
이전 문장에도 차이가 있듯이 "검색"하지 않고 "질문"한다.
🔥 AEO 전략,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1. 질문형 콘텐츠 구조로 전환
"~는 무엇인가요?", "~하는 법", "~하는 이유" 등
항목 | 설명 |
자주 묻는 질문(FAQ) 중심 기획 | 검색 유입이 잘 되는 구조 : "00하는 방법", "00이란?" |
콘텐츠 제목을 질문형으로 | ex. "AEO란?", "서비스기획자가 알아야 할 AEO 대응법" |
답변형 콘텐츠 포맷 설계 | 요약 > 핵심 포인트 > 추가 설명 순서로 구성 |
2. 콘텐츠 구조화 및 마크업 작업
"서비스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3가지", "5분만에 이해하는 AI" 등
항목 | 설명 |
FAQ Schema 마크업 적용 | 블로그/웹페이지에 JSON-LD 기반 스키마 삽입(검색 노출 강화) |
리스트형 구조 활용 | "3가지 방법", "5단계 전략" 등 번호 있는 리스트가 AI에 잘 인식됨 |
구글/Bing이 긁기 좋은 구조 만들기 | 타이틀, 소제목(H2/H3), 요약 문장 정리 필수 |
3. 브랜드/서비스명과 연결된 질문 패턴 정리
항목 | 설명 |
자사 서비스 기반 질문 패턴 수집 | ex. "토스 서비스는 뭐야?", "가격비교 서비스 추천" |
챗봇/음성에 적합한 키워드 정리 | 음성: "~하는 방법", "추천해줘" / 챗봇 : "비교해줘", "정리해줘" |
브랜드명+행위 조합 콘텐츠 확보 | ex. "토스뱅크로 주식하는 법", "가격비교 서비스 이용 후기" 등 |
4. 신뢰도 있는 출처, 전문가성 확보
항목 | 설명 |
작성자 프로필/신뢰 레이어 추가 | AI는 '출처 신뢰도'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선택함 |
출처 URL, 참고 데이터 삽입 | 공식 통계, 논문, 보도자료 인용 등 AI에 긍정적 신호 |
사이트 자체 도메인 신뢰 관리 | 블로그/사이트가 오래될수록 유리(새 블로그보단 도메인 누적 중요) |
5. AI 챗봇과 음성 검색 플랫폼 대응
플랫폼 | 대응 방법 |
ChatGPT/Bing Copilot | 브랜드 키워드 기반 FAQ 콘텐츠 확보(사이트 지도, 소개 정리) |
네이버 톡서치 | '자연어 질문+요약형 콘텐츠' 제작 필요 |
Siri/Google Assistant | 음성 질문 패턴에 맞는 FAQ 콘텐츠 제작(예: "가성비 좋은 식품몰 추천") |
🛒 이커머스에서는 어떤 의미일까?
전략 요소 | 내용 |
외부 AI 유입 최적화 | chatGPT, Perplexity, Gemini에서 내 제품/페이지가 링크되게 |
AEO 전략 강화 | 콘텐츠 구조, 페이지 구조, 질의응답 중심 구성 |
AI Agent와의 연결성 고리 | 외부 AI가 내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게 API, 피드, 마크업 구성 |
AI 자체 도입과 균형 | 자체 에이전트+외부 AI 유입 둘 다 고려 필요 |
GPT가 Goolgle Search Plugin을 쓰거나, Perplexity가 네이버 블로그를 인용하는 식으로.
AI는 AI가 만든 콘텐츠를 참조하는 구조로 가고 있다.
즉, AI가 읽기 쉬운 콘텐츠를 만들면 AI에서 AI로 퍼지게 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중이다.
AEO는 검색이 아니라 '질문에 답하는 콘텐츠'를 만드는 전략이다.
SEO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질문 -> 답변 구조 / FAQ 기반 콘텐츠 / 대화형 포맷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현재 내 블로그의 글 중 하나는 종종 chatGPT를 통해 유입되고 있다.
그 글을 작성한지는 꽤 되었지만 소제목마다 숫자를 많이 입력된 차이가 있다.
당시 가능한 구조적으로 작성하려고 노력했었는데 이게 지금에 와서야 AEO 형태로 빛을 보는 듯하다.
최근 부업으로 블로그 글을 GPT를 이용해 작성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동일한 패턴의 글과 내용이 반복되는 경우가 그렇게 작성하신 걸로 추측된다.
네이버에서는 GPT로 작성한 글로 의심이 될 경우, 삭제를 하고 있다고 하니 주의를 하셔야할 듯 하다.
문득 그런 망상을 해본다. 스스로 글을 작성한 사람들이 점점 줄어들어.
인터넷엔 AI가 작성한 글로만 도배가 되는 세상에는 AI는 어떤걸 참고해서 내게 알려줄까?
'Marketing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실무 용어zip (0) | 2025.03.25 |
---|---|
트리플 미디어와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연관성 (0) | 2025.02.05 |
드릴다운 분석 (1) | 2024.07.07 |
과세 면세 상품 관련 법령 (부가가치세법) (0) | 2022.09.01 |
[Marketing] 환경 분석 방법 : 5 Force Model (0) | 2021.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