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Basic 22

#서비스기획 - 필터와 정렬

필터와 정렬의 차이를 알아야만 한다.어렴풋하게 아는 것과 명확하게 아는 것은 다르다. 우리는 업자니까.설명에 앞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필터와 정렬 아이콘을 가져왔다.왼쪽이 필터, 오른쪽이 정렬 아이콘인데 어렴풋한 느낌과 차이를 알 수 있다.필터는 깔대기 모양으로 많은 정보를 좁게 걸러낸 느낌이다.정렬은 콘텐츠를 아래로 내린 모양으로 어떤 기준에 맞춰 나열한 느낌이다.아이콘만 해석해봐도 두가지의 차이를 알 수 있다.그럼 필터와 정렬은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두가지 모두 사용자가 데이터나 아이템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능이다.필터는 특정 [조건]에 맞는 정보만 보여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쇼핑몰에서 스마트폰을 구매하고자 할 때 브랜드별로 필터 기능을 제공하여 애플, 삼성 등으로 구분하여 볼..

#서비스기획 - 캐시(Cache)와 쿠키(Cookie)의 차이

웹 브라우징에서 사용자 정보(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은 같지만 목적과 저장정보, 작동방식 등에 차이가 있다.구분캐시(Cache)쿠키(Cookie)목적- 웹사이트의 리소스(이미지, CSS파일, JavaScript 파일) 저장-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 웹사이트가 사용자에 대한 개인화된 정보를 저장하거나세션 유지를 위해 사용-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정보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작동 방식-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정적 파일들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 이후 동일한 페이지를 방문할 때 서버로부터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 하지 않고- 로컬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하여 페이지 로딩을 더 빠르게 만듬- 쿠키는 서법에서 생성되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 이후 같은 사이트를 방..

#서비스기획 - 고객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질문

쿠팡의 김성한 PO > 내용 중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인가?개개인이 아닌 법인이나 단체가 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가?사용자는 어떤 가치를 얻으려고 하는가?프로덕트가 그 가치를 직접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가?성공적으로 제공했다는 사실을 데이터로 증명 가능한가?동일한 가치를 추구하는 사용자 집단을 묶을 수 있는가?

#서비스기획 - 마케터, 디자이너, 개발자와 소통하기 위한 단어 모음집

디자인 관련⚡ PIP (Picture In Picture): 화면 속 화면⚡앵커(Anchor): 앵커는 '배의 닻'이라는 의미로 html에서 앵커 태그(anchor tag)를 이용해 페이지 내 원하는 위치로 이동ex. 쇼핑몰에서 긴 상세페이지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탭에 앵커 태그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바로 이동⚡호버(Hover): 이미지, 텍스트, 버튼 등에 마우스 포인터가 올라갔을 때 동작하는 효과⚡툴팁(Tooltip): 클릭 또는 마우스를 특정 구성 요소에 호버했을 때 나타나는 정보 표시 ⚡ATF(Above The Fold) 영역 ↔️ BTF(Below The Fold) 영역: 스크롤을 하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는 영역 개발 관련⚡ 쿠키 ⚡ 캐시 ⚡ 클라이언트, 클라 ⚡ 플래그(fla..

#서비스기획 - 회원가입 CI/DI

회원가입에 있어 빠질 수 없는 CI/DI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관련해서는 많은 분들이 깔끔하게 정리해주셨기 때문에 따로 정리할 필요가 없지만.개인적으로 한번 더 학습을 한다는 목적으로 글을 작성했다. 🐣 CI/DI는 탄생 배경주민등록번호 수집이 법으로 금지된 후 생긴 개념으로 온라인 주민등록번호이다.우리나라에만 있는 폐쇄적인 개념으로 글로벌 서비스에는 부합되지 않는다.CI/DI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회원가입 시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 CI (Connecting Information) :: 개인 고유 식별키앞서 말한 것처럼 "온라인 주민등록번호"로 이해하면 편하다. 에서 가입자에게 고유 번호를 부여한다.부여받은 고유 번호는 각 서비스(사이트)끼리 공유(연계)가 가능하다.예를들면, 간편로그..

#서비스기획 - Web 이해 - HTML/CSS/JavaScript

🤔 Web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Webpage(이하 웹페이지)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는 운영체제(OS: window, mac)와 프로그램(OA: microsoft, 한글 등) 상관없이 일정한 형식이 통일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Web의 구성 요소1.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프로그래밍 언어라고 이해하기보다는 브라우저(ex. 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사파리, 네이버 웨일)가 볼 수 있는 문서를 적는 언어이다.HTML에서 사용되는 코드는 "태그"라고 일컫는다.각 태그의 역할은 웹페이지의 내용을 구조화한다.예를 들면, 여러 개의 문단, 글 머리 목록이 구조화된 것이거나 사진이나 데이터 테이블일 수도 있다.다시 말하면, HTML로 웹페이지에 ..

#서비스 기획 - 미니앱에서 시작되는 슈퍼앱의 세상

이 글은 작성자가 생각하는 슈퍼앱과 미니앱에 대한 다분한 상상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세상에는 수많은 서비스들이 있다.어쩌면 물질적인 상품보다 더 많을지도 모른다.무형의 서비스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존재하는데 그 가치는 개인마다 다르다.개인마다 생활패턴, 가치, 경제규모, 지역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목적이더라도 다른 서비스를 사용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서비스는 대부분 스마트폰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하 '어플') 형태로 사용한다.어플은 2009년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가장 큰 세상의 변화를 가져왔다."같은 아이폰, 다른 아이폰"을 사용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는 것.같은 아이폰이지만 다른 어플들을 사용하면서 개인이 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핸드폰(스마트폰)이 출시된 것이다. 나는 출시 당시에는 이렇게..

#서비스기획 - 나만의 아이디어 고도화 방법

수 없이 머릿속을 지나쳐만 가는 아이디어들.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봤을 법한 것들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말한다.'내가 먼저 생각했던 것들인데'초등학교 3학년 시절 축구가 너무 좋았던 나머지 그런 생각을 해보았다.'4D로 구현되어 내가 집에서 유명 축구 선수들과 가상공간에서 축구시합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그 시절 나름대로 카메라를 몇 대를 두어야 하고 구현하기 위해 어떤 기술들이 있어야 하는지 나름 고민해 봤던 기억이 있다.아직까지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현재는 '메타버스' 개념으로 그날이 머지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매일 기술고도화가 이루어지는 현재. 세상에 없는 게 없을 것만 같아도 문득 머릿속을 스치는 아이디어들이 지나쳐 갈 때가 많다.왜 이런 건 없을까? 이런 게 있으면 좋을 텐데.이런..

국내 PG사 수수료 비교

PG사란? PG(Payment Gateway), 전자결제대행사를 일컫는다. 우리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으로 결제를 진행할 때, 결제정보를 확인 및 승인해주는 솔루션이다. PG사의 역할은 구매자가 상품 구매시 입력한 결제정보를 확인해주는 역할을 하며 아래 비교표와 같이 결제금액의 일정수수료를 수익으로 한다. 가입가맹점에게 발생한 수수료를 제외하고 정산해주며 매월 말일을 기준으로 월마감하여 지급한 수수료급액의 합계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준다. 국내 PG사 수수료 비교 쇼핑몰 기획 시 꼭 알아야할 PG사 수수료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작성 기준일은 2021.11.16자로 직접 홈페이지에서 공지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단, KG이니시스는 홈페이지에서 노출되지 않아 타사이트에서 노출되는 자료를 참고하였..

🔍 도그냥 서비스 역기획 : 마켓컬리

최근 서비스 기획 중에 벽에 가로막힌 느낌이 강하게 들고 있다. 아무런 생각도 들지 않고, 나의 부족한 만 더욱 크게 느낄 뿐이다. 잡히는 모든 책들을 읽던 중에 도그냥으로 활동하고 계신 이미준님의 '서비스 기획 스쿨'을 읽게 되었고 팬이 되어 브런치, 유튜브, 커리어리 스킬업도 수강했다. 그래도, 실무를 하는데 있어 너무나 스스로 부족하단 느낌이 들어서 다시 처음부터 해보자는 마음으로 몇 가지 서비스를 역기획을 해보고자 한다. 시작에 앞서 역기획 시, 유의사항이 있다. 1. 서비스 평가하는 목적이 아니다. 2. 비즈니스 모델 구조(서비스/수익)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3. 사용자(FO) 단 뿐만 아니라 관리자(BO) 부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단순히 UI 부분만 파악하기 위해 역기획을 하는 것이 ..